주메뉴 바로가기 본문내용 바로가기 사이트정보 바로가기

정치외교학과

메뉴

양식 및 자료

제목 - 설명

 

88만원 세대


강호동이 진행하는 무릎팍 도사란 프로그램에 출연한 안철수 씨는 20대에 대한 기성세대의 일반적인 평가를 정면으로 반박했다. 그는 기성세대가 ‘20대는 게으르며 용기와 패기가 없다.’라고 평가한 것은 자신의 책임을 회피하기 위한 비도덕적인 행위라고 비판하며 현 20대에 대한 제대로 된 인식을 촉구한 것이다. 똑같은 기성세대인데 20대에 대해서 각기 다른 평가를 내린 이유는 무엇일까? 이 문제에 대해 정확한 답변을 하려면 우리 사회에서 20대는 어떤 존재이며 어떤 상황에 놓여있는지에 대한 명확한 판단이 필요하다.


절망의 시대에 쓰는 희망의 경제학이란 부제를 지닌 ‘88만원 세대’는 세대론적 관점에서 20대를 바라봄으로써 문제의 본질을 살펴보려고 한다. ‘88만원 세대’의 저자들은 현 20대에 대해 책 제목과 같은 ‘88만원 세대’라고 규정했다. 이것은 비정규직 평균 임금 119만원에 20대 급여의 평균 비율인 74%를 곱한 값을 임금으로 받기에 붙여진 명칭이다. 이는 간접적으로 현 20대가 자의에 의해서 게으르거나 패기 없는 모습을 하고 있는 것이 아님을 나타낸다. 즉 현 20대의 문제를 세대 간의 갈등 착취 문제로 보고 그 기형적 구조의 인식의 타파가 필요하며 이것이 선결되어야만 현 20대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평가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우석훈과 박권일은 현재의 20대가 부모로부터 독립하지 못하는 사회적 구조에 주목하여 ‘88만원 세대’ 담론을 촉발시켰다. 최근 현상은 ‘교육 종료’가 선언되어도 20대의 사회진출이 지체되며 이 기간이 언제 끝날지 모른다는 것이 문제이다. 책 ‘88만원 세대’는 이 현상이 쉽사리 해결되지 않을 것이라고 단언한다. 그 원인은 앞서 언급한 기형적 경제구조, 그리고 그것을 생산해 낸 386세대의 활약이 지금부터 본격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결정적으로 20대들이 이 구조적인 위기를 고작 자기들끼리의 ‘경쟁’을 통해 헤쳐 나가고자 하는 문제도 지적한다. 이런 거시적 구조의 문제에 대해서는 수긍할 수 있지만 몇 가지 생각해 볼 문제가 있다.

 

 과연 그 20대의 행위자들이 정말 ‘구조에 반항도 못하는 멍청한 행위자’인가라는 것이 첫 번째 문제점이다. 이 책은 격차를 만들어낸 구조, 20대들이 진입하게 될 구조에 대해서는 상세히 설명을 하지만 그 속의 20대에 대해서는 단일한 모습으로 상정하고 있다. 그러나 20대는 모두가 이런 패배자적인 모습으로 있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구조를 극복하거나, 비판적으로 성찰하는 20대도 존재한다. 예를 들면 청년창업에 성공한 사람, 대기업에 합격한 지방대학교 학생들은 “열심히 노력해서 88만원 세대에서 탈출할 수 있다.”고 말하며, “꼭 경제적 성공만이 아니더라도 나름 잘 살고 있다.”라고 말하는 존재가 있다. 물론 20대가 다양하다고 하더라도 이들이 처한 동일한 상황은 부정되지 않지만 그 구조 속의 행위자의 다양성은 짚고 넘어갈 필요가 있다. 따라서 과도하게 일반화하기보다는 20대와 10대의 한 분파정도로 이해하는 것은 어땠을까?


 두 번째 문제는 책 ‘88만원 세대’가 상정한 20대의 목소리를 반영했는가? 하는 것이다. 경쟁에서 이겨낼 상황이 아니고 감히 무시할 생각은 하지 있지 않은 그들의 목소리를 책 ‘88만원 세대’에서 찾을 수가 없다. 이는 우석훈, 박권일이라는 386세대가 그들의 눈으로만 20대를 바라보고 있기 때문이다. 진정한 20대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지려면 책에서 상정한 20대의 목소리를 담으려는 노력은 시도되었어야 했다. 그들의 목소리를 들어야 그들에 대한 진정한 이해가 되고 현실적 대안을 제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렇다보니 책에서 제시하고 있는 대안도 “앙팡테리블이 되어야 한다.”든지 “정책과 구조가 바뀌어야 한다.” 등 추상적이고 막연해진 것이다.


 마지막으로 제기할 수 있는 문제는 내용적인 문제로 정말 10대, 20대가 처한 가혹한 현실이 정말 윗세대가 이미 자리 잡아 빈자리가 제한적이기 때문인가? 이다. 어느 시대, 어느 사회이건 예외 없이 기성세대가 노동시장을 선점하여 더 좋은 일자리를 차지하기 위해 세대 간 경쟁과 갈등이 존재했기 때문이다. IMF 이후 신자유주의적 구조조정과 경기침체의 장기화에 따라 일자리가 줄어들고 노동유연성이 강화 되었다. 이에 따라 노동시장을 치열한 경쟁체제로 만들어 세대 내 경쟁, 세대 간 경쟁이라는 상황을 초래한 것이라는 주장에도 고개가 끄덕여 지는 것은 386세대의 착취가 충분조건은 아니라는 의미이다.


 이런 몇 가지 약점에도 불구하고 이 책이 우리 사회에 기여한 바는 매우 크다. 언론매체나 학계, 정치권의 민감한 반응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청년실업과 비정규직 문제를 세대 간 경쟁의 맥락에서 이슈화함으로써 기성세대로 하여금 청년들의 고통에 공감하고 해법마련을 강하게 촉구하는 효과를 낳았기 때문이다. 이 책은 구조적 상황에서 약자에 놓인 20대들이 읽어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하지만 정말 이 책을 읽어야 할 사람들은 386세대들일 것이다. 20대의 자기속성자각은 쉽지 않을 뿐더러 자각하더라도 세대 내 경쟁을 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이 책은 문제의 원흉으로 지목되는 386세대가 읽음으로써 자기반성을 해야 한다. 또 저자가 제시한 해결책들은 20대 스스로가 할 수 있는 것들이 아니기 때문이다.


 20대가 처한 동귀어진적 상황은 부정할 수가 없다. 어느 것이 근본적인 원인인지 파악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 상황을 누가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가 더 중요한 문제이다. 이를 위해서는 착취의 사다리 꼭대기에 올라가있는 386세대 스스로가 현재의 사회적 문제에 대해서 인식하고 해결하려고 노력하는 것과 동시에 88만원 세대 또한 자신들의 세대 착취를 인식하고 이것이 다음 세대에 되물림 되지 않도록 자각하고 있어야 한다.

청춘은 다시 오지 않는다. 현 20대에 대해서 이렇다 저렇다 규정하는 것은 어쩌면 다시는 오지 않을 그들의 청춘을 짓누르고 있는 것이다. 다시 오지 않을 빛나는 청춘을 위해 20대 스스로, 그리고 그들의 윗세대는 오늘 무엇을 할 것인가를 고민해야 한다.

 

THE리더

 

상단으로 이동